프레듀 원격평생교육원

과목정보

[HD]입문자를 위한 Kotlin(코틀린) 프로그래밍 제대로 배우기 (초급) Part.7 프로그램 흐름 제어-조건문, 반복문, 예외 처리-2

강사명 차시 학습시간 샘플
신경진 9 5 시간
모두보기
과정소개
학습대상
학습목표
학습내용

과정소개

코틀린의 프로그램의 흐름의 중단과 반환 키워드, 암묵적 라벨, 비지역 반환의 해결책, 라벨 표기법으로 람다식 사용, continue, break문의 개념, 예외처리에 대한 내용을 이해한다.

학습대상

코틀린을 배우는 모든 학습자

학습목표

코틀린의 프로그램의 흐름의 중단과 반환 키워드, 암묵적 라벨, 비지역 반환의 해결책, 라벨 표기법으로 람다식 사용, continue, break문의 개념, 예외처리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고 직접 실습한다.

학습목표

1. 이론-흐름의 중단과 반환 키워드, return, break, continue개념, 예외처리 개념, 람다식에서의 return문 사용방법 중 라벨을 이용한 방법에 대한 설명
2. 이론-암묵적 라벨을 람다식에 사용하여 return문 활용, 익명함수를 람다식 대신에 넣을 수 있는 return문 활용, 람다식과 익명함수 중 어떤 것을 사용할지에 대한 설명
3. 실습-일반적인 return문의 용도, 인라인 함수의 람다식에서의 return문 비지역 반환의 문제점, 라벨을 이용한 람다식을 통하여 비지역 반환 문제 해결에 대한 실습
4. 실습-암묵적 라벨로 람다식 표현, 익명 함수를 넣어서 사용하는 방법, 익명함수의 확실하게 return문을 구별 짓는 것, when()으로 바꾸는 것에 대한 실습
5. 이론-break문과 continue문에 대한 작동법과 라벨표기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곳으로 이동을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설명
6. 실습-break문과 continue문에 대한 작동법과 라벨 표기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곳으로 이동을 할 수 있는 것, 함수에 람다식이나 익명함수를 대입하는 것에 대한 실습
7. 이론-예외와 오류의 차이점, 예외 처리의 개념과 목적, try~catch~finally구문의 개념, Exception클래스, 특정 예외처리, 스택의 추적(printStackTrace), throw키워드, 사용자 정의 예외클래스 만들어 발생시키는 방법에 대한 설명
8. 실습-try~catch~finally구문을 이용한 예외처리, Exception클래스의 순서, message, printStackTrace()사용법, throw키워드를 이용한 강제로 예외 발생시키키에 대한 실습
9. 실습-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를 만들어 직접 예외처리를 하는 것에 대한 실습